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6)
스픽으로 보는 KPI와 OKR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KPI (Key Perfomance Indicator) 우리는 지금 잘 가고 있는 것일까 핵심성장지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한 성과지표 지금 집중하고 있는 것이 옳은 것인 지 판단할 때 KPI를 활용할 수 있다. 지난번 스픽을 분석해보았지만, KPI 강의를 들으며 스픽은 플랫폼/커뮤니티/툴/컨텐츠 중에 어떤 분야일까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리고 어떤 지표로 상태를 파악할 지 궁금해졌다. 스픽의 KPI는 무엇일까? 스픽의 목표 스픽은 영어회화 서비스로,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인 동시에 음성 인식, 머신러닝 기술 회사"라 소개하듯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음성인식 기술이 핵심 기능이다. 단기적으로는 영어 학습에서 가능한 최고의 컨텐츠를 만드는 것이, 궁극적..
아이디어스는 PMF를 찾았을까?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PMF(Product Market Fit)는 무엇일까? PMF를 찾았다는 것 = 현재 해당 제품이 시장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것 "PMF는 목표가 아닌 상태이다." '중요하다는데 PMF가 언젠 지 꼭 알아야 하나, 이것을 위해서 전략을 세워야하나' 잘 정리되지 않았는데, QnA 시간에 다른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해주신 말씀으로 개념이 싹 정리되었다. PMF가 '상태'라면 반드시 알아하지만, 성장하는 과정이고 이것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 "아이디어스"는 PMF를 찾았을까? 아이디어스는 선물을 사고 싶을 때 많이 찾았던 플랫폼으로, 좋은 퀄리티의 특이한 상품과 커스터마이징 상품이 많다. 늘 소비자로 사용한 서비스이기에 아이디어스는 성장중인 지, 도태되고 있는 지 궁금해졌..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BM과 BMC_ 맘시터 지난 학기, '일정이 유동적이라 아르바이트는 구하기 어려운데 할 수 있는 것이 없을까' 검색하다가 알게된 '맘시터' 이런 플랫폼을 신뢰하고 아이를 맡길까 싶었지만 생각보다 수요가 많은 것이 인상적이었다. 부모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었던 '맘시터'만의 장점을 알아보고 싶어 분석하게 되었다. BM(Business Model)과 BMC(Business Model Canvas) BM은 쉽게 말하면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를 말한다. PM은 BM을 통해 가장 집중할 것을 파악하고, 어떤 행동을 할 것인 지 결정할 수 있다. BMC는 비즈니스에서 중요한 부분을 정리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로, '주요 사업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모델이다. 총 9개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Value Propositions(제공 가치..
마켓컬리_ 디자인씽킹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마트에 가서 식재료를 고르는 사람들을 본 적이 있는가. 요리조리 살피며 상한 부분은 없을까, 유통기한은 얼마나 남았나 확인한다. 한 끼를 맛있게 먹기 위해서 일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먹느냐"는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음식을 사랑하는 나는 식사에 만족도에 따라 기분과 집중력이 달라지기도 한다. 말그대로 '힘'이 나기 때문이다. 좋은 것을 좋은 그대로 식탁에 올리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이 있다. 바로 '마켓컬리'이다. Product Statement 핵심 문제/니즈 정의 '마켓컬리'는 국내 이커머스 시장 중에서도 신선 식품 시장에 속해 있다. 온라인 신선식품 시장에서는 품질의 문제가 존재했다. 그 원인은 유통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 중간 유통 과정 오프라인 유통 과정을 간단하게 표현하면,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가치 기반 서비스 분석_ 트립닷컴 오늘은 리서치한 고객 경험을 검증할 수 있는 CVC, MVP, Pretotype에 대해 공부했다. 고객을 알고,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점차 깊게 다루는 것 같아서 어렵고 재미있다! 오늘의 과제는 "가치 기반으로 서비스를 분석하여 새로운 기회를 찾아봅니다." 그리고 개선하고 싶은 제품을 선정해야 했다. 내가 선정한 프로덕트는 "트립닷컴"이다. 트립닷컴의 고객 트립닷컴의 고객은 "여행을 갈 때(Situation), 좋은 여행이 되기 위해서(Motivation), 숙소와 일정을 비교하고 결정하기를 원한다(Expected Outcome)." 최근 급하게 숙소를 잡아야 하는 일이 있었다. 혼자 머물기 안전하고 저렴한 숙소가 필요했다. 네이버에서 괜찮은 숙소를 찾았고, 최저가 검색에서 Trip.c..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인터뷰 실습_지그재그 지그재그 배경 지그재그는 치열한 한국 패션 시장에 속해 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서 여성 패션을 넘어서 '라이프스타일을 발견하도록 돕는 플랫폼'으로 나아가려고 한다. 목적 지그재그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업데이트 이후 지그재그의 달라진 목표와 기능이 고객에게 전달되었을 지 확인하려고 지그재그가 어떻게 업데이트되었는 지 잘 정리한 글을 첨부한다. https://brunch.co.kr/@grit-han/12 지그재그의 이유 있는 변신 지그재그 업데이트 및 리브랜딩 살펴보기 | 지그재그가 바뀝니다. 가장 먼저 눈에 띈 변화는 캐치 프레이즈였습니다. '3,500만 여성이 선택한 쇼핑앱'이 '브랜드 패션, 뷰티와 라이프도'로 바뀐 것 brunch.co.kr 인터뷰 인터뷰는 전화로 진행했고, 녹음을 허락받고 녹..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JTBD_ 삼성페이 오늘은 "내가 사용하는 서비스 중 나의 삶에 제일 많은 영향을 끼치는 서비스"를 선택했다. 이 질문을 보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는 카카오톡, 유튜브라고 생각했지만 나의 일상을 바꿔놓은 서비스는 삼성페이였다. "삼성페이" 삼성 전자에서 2015년 3월에 공개한 전자결제 서비스이다. 결제부터 개인 정보 인증, 자산 관리까지 지원하는 온/오프라인 핀테크 플랫폼이다. 카드/계좌 연동, 멤버십 포인트, 쿠폰, 교통카드 기능은 온/오프라인의 결제와 소비를 제공하고 있으며, 삼성패스, 디지털 키 등이 개인 정보 인증을, 페이 플래너, 디지털 자산 등은 자산관리를 할 수있도록 한다. 개인적으로는 카드 연동, 멤버십, 교통카드를 가장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모바일에서 삼성패스를 통해 로그인을 편하게 하기도 한..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Design Thinking Process_ "슥삭" '슥삭'? '슥삭슥삭' 넘기는 소리가 생각나지 않나요? 슥- 저장하고 삭- 삭제할 수 있는 커리어 플랫폼 "슥삭"을 소개하려고 한다. 슥삭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외활동, 공모전, 인턴 등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스펙과 취업에 관련된 정보를 여기저기에서 찾아보던 대학생들이 검색, 추천을 통해 좋은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하고 있다. 나는 기숙사에 거주하며 교내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었지만, 코로나 19 이후로 본가에 머물게 되면서 지역, 온라인에서 할 수 있는 교외활동을 찾기 시작했다. 당시 '대학생 교외활동', '온라인 교외활동'을 검색하다가 슥삭을 알게 되었고, 편리함에 꾸준히 찾게 되는 앱이다. 가장 큰 장점은 말그대로 '슥삭' 기능이다. 스와이프 방식으로 정보를 슥슥 넘기며 저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