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의 4가지 형태
1. 앱의 4가지 형태에 대해 추가로 조사 해 보고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해 정리해 봅니다.
2. 본인이 한 프로덕트의 PM이라면 기획하는 과정에서 각 앱의 형태를 어떻게 선정할것인지, 그리고 개발 단계에 어떤 사항을 적용해야 하는것이 좋을지에 대해 간략하게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앱의 4가지 형태는 아래와 같다.
모바일 웹: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하기 편한 방식으로 개발된 웹 페이지 기반 서비스
웹 앱: 앱의 형태를 가지고, 실제 내용은 대부분 웹에서 구현하는 서비스
하이브리드 앱: '네이티브 앱의 구조 + 일부 기능들을 웹'으로 구현하여 웹의 기능을 쉽게 연결하는 앱
네이티브 앱: 모바일 운영체제에 최적화된 언어를 사용해 개발한 앱
모바일 웹/ 웹 앱
예시
모바일 웹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네이버'가 있다. 아래를 보면 'm.naver.com' 이라는 url로 네이버의 모바일 웹을 볼 수 있다. PC로 볼 수 있는 네이버 웹 페이지와는 다르고, 네이버 앱과도 다름을 볼 수 있다. 모바일에서 웹 페이지를 검색했을 때, 모바일 환경에 맞게 구현될 수 있도록 개발한 '모바일 웹'이다.
웹 앱의 예시로는 '대구교육포털 스쿨나비'가 있다.
대구교육포털은 '에듀나비'이지만 이 정보에 각 학교의 정보를 함께 열람할 수 있는 앱이 '스쿨나비'이다. 이 '스쿨나비'의 기능이 대부분 웹페이지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스쿨나비'에서도 에듀나비로 접속할 수 있어 해당 화면을 가져왔다. 모바일에 맞게 사이즈만 바뀌었을 뿐, 모든 구성이 동일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모바일 웹과 웹 앱의 차이점
- 최종 형태: 모바일 웹은 '웹'이고 웹 앱은 '앱'이다.
- 다운로드 필요 유무: 모바일 웹은 설치가 필요없고, 웹 앱은 다운로드 해야 한다.
장단점
장단점이 유사하다고 생각하여 모바일 웹과 웹 앱을 함께 살펴보았다.
내가 PM이라면?
"이럴 때 선정할거에요"
모바일 웹
- 모바일의 웹페이지 구현이 UX에 큰 영향을 미칠 때
웹 앱
- 자원이 한정적이지만, 웹페이지 노출/ 정보의 정리가 필요할 때
- 웹 페이지를 빠르게 앱으로 나타내보고 싶을 때
"개발 단계에서는요"
- 기능 구현의 한계를 알고 과도한 기능이나 디자인을 요구하지 않는다.
- 빠른 수정과 업데이트가 가능함을 알고, 일정을 조율할 것이다.
- 모바일 기기 기능과의 연동을 요구하지 않는다.
- 마크업과 클라이언트 구현 업무를 구분해서 소통한다.
- UI에 대한 의미와 의도를 충분히 전달한다.
네이티브 앱
예시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우리가 떠올렸을 때 모바일 화면이 떠오르는, 모바일에 최적화된 서비스들의 예시이다. 앱의 형태들을 모른다면, 어플을 떠올리면 네이티브 앱을 먼저 떠올릴 것같다.
장단점
내가 PM이라면?
"이럴 때 선정할거에요"
- 앱으로 구현할 기능이 확실할 때
- 기능이나 보안이 중요한 서비스를 기획할 때
- 업데이트를 자주 하지 않는 서비스를 기획할 때
- 개발 인력과 자원이 충분할 때
- 개발에 시간을 많이 투자할 수 있을 때
"개발 단계에서는요"
- 수정의 어려움을 알고, 초기 단계부터 소통을 자주 한다.
- 일정을 길게 잡고 일정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소통한다.
- IOS와 안드로이드 각각 체크한다.
- 구현할 UX/UI를 최대한 자세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며, 제대로 전달되었는 지 확인한다.
하이브리드 앱
예시
"구글"
하이브리드 앱은 웹과 네이티브 앱이 합쳐진 형태로, 네이티브 앱에서 특정 웹페이지를 불러온다. 콘텐츠 영역은 html기반으로 개발하고, 앱 배포에 필요한 패키징처리를 IOS와 Android로 한다고 볼 수 있다.
구글 앱을 보면 기사를 피드로 보여주고 있다. 이는 웹페이지에서 그대로 불러온 콘텐츠이다.
그리고 카메라 검색, 음성 검색을 위해 모바일의 카메라와 마이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장단점
내가 PM이라면?
"이럴 때 선정할거에요"
- 노출할 콘텐츠가 많을 때
- 네이티브 앱 개발자가 충분하지 않을 때
- 네이티브 앱만큼의 기능은 필요치 않지만, 기기의 자체 기능을 사용해야 할 때
- 앱의 기능과 함께 콘텐츠 업데이트가 자주 필요할 때
"개발 단계에서는요"
- 웹 개발도 이해하고 소통한다.
- 협업하는 개발자들이 얼라인될 수 있도록 UX/UI의 의도를 자세하고 정확히 전달한다.
- IOS와 Android 각각 체크한다.
- 자주 업데이트될 수 있는 콘텐츠를 미리 알고 전달한다.
'PMB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주 후 달라진 플로우차트?_케이크 과제 회고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0) | 2022.10.12 |
---|---|
카카오 푸시알림 API 알아보기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1) | 2022.10.11 |
내친구 '파파고'로 데이터 분석 맛보기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1) | 2022.10.07 |
우리동네키움센터와 째깍섬_ 데이터시각화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0) | 2022.10.05 |
린분석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0) | 2022.09.30 |